리눅스35 포트포워딩 없이 원격제어 또는 원격제어 안될때 해결법 1. 원격제어? 원격제어를 외부에서 실행하고 싶나요? 또는 포트포워딩 없이 RDP, SSH, VNC, 등 안전하게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는 방법을 오늘 설명해드리려고 해요!. 이를 통해 서버 관리자는 포트 포워딩 없이도 원격으로 서버를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SSH를 사용하려면 같은 네트워크 망에 있던 지, 공유기를 사용 중이라면 포트포워딩을 해줘야 외부네트워크에서 접속할 수 있습니다! 공유기 비밀번호를 모를 때 도움이 많이 돼요! #댓글에 남겨두시면 글 올리도록할게요! #url이 이상하게 출력이되어서 다시 재업하는글입니다 ;.; 사전에 양해 부탁드립니다 2. ngrok란 무엇인가요? ngrok는 인터넷에 연결된 로컬 서버를 안전하게 공개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SSH, RDP,.. 2023. 8. 10. 리눅스 docker : 컨테이너 가상화 기술로 열어가는 미래 도커(Docker)는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배포의 큰 패더다임을 를 이끈 컨테이너 가상화 기술입니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에서 도커가 어떻게 혁신을 가져왔으며, 컨테이너 가상화의 기술적인 내용과 우분투 데스크톱 GUI를 web vnc로 구동하는 실습진행하겠습니다 목차 도커란 무엇인가? 도커의 핵심 개념과 동작 원리 도커의 장점과 활용 사례 도커 컨테이너 구축과 실행 도커 이미지와 레지스트리 도커 컴포즈를 활용한 멀티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 도커와 미래: 컨테이너 생태계의 발전 자주 묻는 질문 1. 도커란 무엇인가? 도커는 컨테이너 가상화 기술을 통해 소프트웨어의 개발, 테스트, 배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열쇠입니다. 개발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 패키징하여, 호스트 환경에 관계없이 일관성 있.. 2023. 8. 10. ssh: connect to host 192.168.219.109 port 22: Connection refused 오류 해결법 문제 해결을 위한 효과적인 SSH 연결 오류 해결법 SSH 연결 시 "ssh: connect to host 192.168.219.109 port 22: Connection refused"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이는 일반인들에게 생소할 수도 있는데요. 제가 제시한 방법은 80% 정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순서를 꼭 지키면서 따라오시길 바랍니다. 1. 네트워크 연결 확인하기 먼저, 오류의 주된 원인중 한 가지는 네트워크 연결의 문제입니다. 네트워크 연결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하는데요? 원리보단 해결법을 보여드리기 위해서 순서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네트워크 통신확인할 때 쓰는 국룰 명령어 ping을 시도해 봅니다 원격 접속을 시도하는 피씨에서 ping 보내기 ping ip주소 만약 출력이 그.. 2023. 8. 8. 누구나 따라할 수 있는 놀라운 원격 제어 비법, TightVNC 사용법 소개 소개 오늘은 초보자도 단 몇 분이면 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설루션 중 하나인 TightVNC은 간단하고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TightVNC의 사용법과 간단히 소개하겠습니다 TightVNC이란? TightVNC은 Virtual Network Computing(VNC)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원격 제어 설루션입니다. VNC는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로 - RDP 보다 가볍고, 통신에 필요한 자원 소모가 RDP와 비교했을 때 매우 적습니다 또한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요. 그중에 TightVNC은 뛰어난 성능, 간편한 사용성 -> 설치 후 간단한 숫자 변경 만으로 원격 접속을 할수있어서 초심자, 원격 제어 원리는 모르지만 원격 제어가 급하게 필요하신 사용자들.. 2023. 8. 7. 고스트 프로세스? 리눅스의 숨겨진 위협, 좀비 프로세스에 대처법 리눅스에서의 좀비 프로세스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프로세스란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나 작업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시스템에서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때 생성됩니다. 하지만 때로는 프로세스가 종료된 후에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상태를 "좀비 프로세스"라고 합니다. 좀비 프로세스의 특징 좀비 프로세스는 이미 종료된 상태이지만, 해당 프로세스의 정보가 여전히 시스템 프로세스 테이블에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이러한 상태로 남아있는 프로세스는 자원을 소비하면서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좀비 프로세스의 원인 좀비 프로세스가 생성되는 주요 원인은 부모 프로세스가 자식 프로세스의 종료 상태를 정리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부모 프로세스가 .. 2023. 8. 3. 리눅스 넷켓 강력한 네트워크 제어! 소름 돋는 통신 기술 대공개(1편) 1. 넷캣(nc)이란? 넷캣(nc)은 리눅스에서 자주 사용되는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명령어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 간 통신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넷캣(nc)의 활용 2.1. 포트 스캔 넷캣은 특정 포트로 연결을 시도하여 서버의 응답을 확인하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실행하여 원하는 서버의 특정 포트가 열려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hostname과 port는 확인하려는 서버의 호스트명과 포트 번호로 대체되어야 합니다. 현재 열려있는 포트번호를 알아내는 명령어입니다 ss -tuln nc -vz 다른pc의 ip 다른pc의 열린포트 주의사항 인가받지 않는 타인의 pc의 서버,pc.. 2023. 8. 2.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