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9

[Android/Kotlin] Tensorflow error : Cannot access class 'org.tensorflow.lite.gpu.GpuDelegateFactory.Options 해결법 TensorFlow Lite에서 GPU를 사용하려다 다음과 같은 오류를 겪으셨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Cannot access class 'org.tensorflow.lite.gpu.GpuDelegateFactory.Options'. Check your module classpath for missing or conflicting dependencies🔍 문제 원인이 오류는 GpuDelegate를 생성할 때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GpuDelegateFactory.Options 클래스가 프로젝트에 포함되지 않았을 때 발생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TensorFlow GPU 관련 라이브러리가 누락되었거나 잘못된 버전을 사용한 경우입니다.✅ 해결 방법아래와 같이 정확한 TensorFlow Lite GP.. 2025. 5. 1.
[Android/Kotlin] OpenCV MatAt.kt IR 오류 해결 방법 Kotlin 2.0 이후 발생하는 Android + OpenCV 빌드 문제 Kotlin 2.0 이상 버전 부터 OPenCV 컴파일러 에러가 발생합니다;. java 프로젝트는 시도해보진 않았지만 Java 에서는 잘작동되는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코틀린 2.0 이상부터는 문제가 발생하더라구요.. 버전을 다운그레이드 하거나 아래방법을 따라하면 해결하실수있을거에요.특히 Android 프로젝트에서 OpenCV 모듈을 사용할 때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를 마주했다면,이 글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Execution failed for task ':opencv:compileDebugKotlin'.> A failure occurred while executing ...GradleKotlinCompilerWork.. 2025. 4. 23.
[리눅스마스터1급] 핵심 내용 정리 : 쉘(Shell) 이해하기 리눅스 마스터 공부를 위한 핵심 정리 중 오늘은 리눅스 셸(Shell)에 대해서 리눅스 마스터 교재와 최대한 비슷하도록 느낌을 살려봤고 간단한 쉘 스크립트 실습 코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셸(Shell) 이란? 셸(Shell)은 리눅스 운영 체제의 핵심 구성 요소 중 하나로, 사용자와 커널(운영 체제의 핵심 부분)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하고 시스템 리소스에 액세스 하고 파일을 관리하는 데 사용하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좀 더 면밀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역할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와 커널 간 중간 역할: Bash는 사용자와 커널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면 Bash는 그 명령을 커널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변환하고 커널에 전달합니다. .. 2023. 9. 8.
[리눅스마스터1급] 핵심 내용 정리 : X 윈도우 (X window) X 윈도우(X window)는 컴퓨터 그래픽 환경을 구축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또한 리눅스 마스터 시험 대비를 위한 것뿐만 아니라, 원격지 근무를 하시는 분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X 윈도우(X window)의 개념 X 윈도우"는 리눅스 및 유닉스 기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의 일종이며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그래픽 요소 표시 및 조작: X 윈도우 시스템은 화면에 그래픽 요소를 표시합니다. 이것은 윈도우, 아이콘, 메뉴, 대화 상자 및 다른 그래픽 요소들을 의미합니다. 사용자는 마우스 및 키보드를 사용하여 그래픽 응용 프로그램을 조작하고 제어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 요소들은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것은 다양한 응용 프로그.. 2023. 9. 6.
[리눅스마스터1급] 핵심 내용 정리 : 파일 시스템 구조 리눅스마스터1급 필기 내용 중 핵심 파일 시스템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실기 업로드 예정)를 위한 이론을 정리한 문서입니다). 시험 과목 순서에 따라 업로드하고 있어요.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기본 개념, 구조, 로컬 및 클러스터 파일 시스템, 그리고 기타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 대한 이론 입니다. 파일 시스템의 개요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정의하는 체계입니다. 즉 파일 시스템은 파일과 디렉터리를 조직화하고, 사용자 및 프로그램이 데이터를 쉽게 검색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보관이 가능하며,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을 쓰는 이유 안정성: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고 파일 시스.. 2023. 9. 5.
[리눅스마스터1급] 핵심 내용 정리 : 부팅의 절차 & (systemd,init) 시스템 시작 및 하드웨어 초기화 전원 투입 및 POST 리눅스 OS 부팅은 컴퓨터의 전원이 켜짐과 동시에 시작됩니다(ROM 영역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 우선순위 첫 번째로 실행). 이때 컴퓨터는 POST(Post Power-On Self-Test) 과정을 거칩니다. POST(Post Power-On Self-Test) 란? POST는 하드웨어 및 기타 시스템 구성 요소의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입니다. 이 과정은 BIOS(Basic Input/Output System)에서 관리되며, 모든 하드웨어가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아래에 보시는 그림으 post입니다 : ) 시험준비용으로는 이런 기능정도만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부트 로더: GRUB 또는 LILO 다음으로, 부트 로더(Boot L.. 2023. 9. 3.